한국관상지원단

조회 수 186 추천 수 0 댓글 0
Extra Form
작성자 오창열 신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오늘 우리는 주님의 수난을 묵상하며, 그와 동시에 예수님이 왕으로서 예루살렘에 입성하신 일을 기념합니다. 그래서 오늘 전례를 통해 주님의 예루살렘 입성을 기념하는 성지 축성과 행렬 예식에 참여하고, 주님의 수난 이야기를 생동감 있게 듣게 됩니다.
예수님을 환호하던 군중들 사이에는 별다른 합의가 없었습니다. 그런데도 불과 닷새 만에 그들이 보인 말과 행동에는 커다란 변화가 있었습니다. 주님의 영광과 찬미의 환호성이 배반과 불신의 함성으로 바뀌었고, 성대한 환영 예식이 피와 죽음의 도살장을 연상케 하는 분위기로 뒤바뀐 것입니다. 상황이 이렇게 어처구니없이 변한 것을 보면, 군중들의 심리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 백성이 입술로는 나를 공경하여도, 마음은 내게서 멀리 떠나 있구나.”(마태 15,8 : 마르 7,6) 하신 주님의 책망은, 바로 이처럼 변덕이 여간 심하지 않은 인간의 심리 상황을 잘 보여줍니다.
오늘 전례에 참례하는 동안, 우리도 축성된 성지가지를 들고 우리 안에 오시는 주님을 환영하는 찬미의 노래를 부릅니다. 그렇지만 이 미사가 끝나고 성당 문을 나서는 순간부터 일상생활에 파묻혀 주님의 수난과 죽음을 뒷전에 밀어놓는 여유 없는 삶을 살아간다면, 그런 우리들 역시 변덕이 심한 유다 군중과 다를 바가 없습니다. 선포되는 주님의 말씀을 들으며 이마와 입술과 가슴에 십자가를 그었지만, 주님의 말씀이 겨우 우리의 머리 아니면 입까지만 내리고 진정 우리의 마음에 임하지 않는다면, 주님의 말씀은 우리 안에서 결실을 맺을 수 없습니다. 결국 주님의 말씀은 가시덤불 속에 뿌려진 씨앗과 같아 세상 걱정과 재물의 유혹과 그 밖의 일들에 대한 욕심 때문에 숨이 막혀 죽어버리게 되는 것입니다(마르 4,13-20). 주님의 말씀은 머리로만 알아들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마음으로 받아들여 믿고 우리 삶 속에서 구체적으로 실현되어야만 합니다. 그 때에야 우리들은 주님 말씀의 풍성한 수확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우리는 하느님께서 인간을 구원하시기 위해 어떤 방식을 택하셨는지를 잘 알고 있습니다. 하느님께서는 인류 구원을 위하여 당신의 아들에게 수난과 죽음의 십자가를 맡기셨습니다. 그런 점에서 주님의 수난과 죽음의 십자가는, 인류에 대한 하느님 구원의 기쁜 소식을 담고 있는 복음의 마지막 증언이 되고 있는 것입니다.
예수님을 만나고 체험하는 사람은 변하게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수난복음에 나타난 유다 군중들처럼 우리들의 믿음이 또다시 변한다면, 게세마니 동산의 제자들 마냥 우리들의 믿음이 나약하다면 우리들은 결국 비겁한 신앙의 도피자가 되고 말 것입니다. 참된 신앙인이 된다는 것은 얼마나 주님에 대해서 알고 있느냐? 하는 이론적인 지식에 있는 것이 아니라 얼마나 주님 앞에 아름답고 사랑스럽게 변화된 삶을 사느냐 하는데 있습니다. 아무리 오랫동안 주님을 믿고 성사생활을 해 왔다 하더라도, 그 마음에 주님을 모시지 못하면 그리고 늘 새롭게 변화된 삶을 살지 못한다면, 그는 참된 신앙인이라고 할 수 없을 것입니다.
이제 성주간에 들어섰습니다. 예수님의 마지막 생애의 사건들을 기념하는 이 성주간을 시작하면서, 생각해 봐도 지난 사순절 동안 별로 열심한 삶을 살았다는 평가가 앞서질 않습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이 마지막 한 주간 동안, 주님의 수난과 죽음에 동참하는 삶을 통해서 우리 자신의 아름다운 변신을 위해 노력한다면, 그리스도의 부활은 참으로 커다란 축제로 다가올 것입니다. 주님 부활의 영광을 나누어 받고 그 기쁨과 평화를 얻을 수 있도록 “주님, 당신과 함께 제 자신에 대해 죽고, 그럼으로써 당신을 위해 아름다운 변신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십시오.” 이렇게 기도드리며 주님의 은총을 구하여 봅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작성자
공지 웨인 티스테일, ⌜신비가의 마음⌟ 2025.03.17 359 이청준 신부 역
공지 2025년 사순 제2주일 3월 11일(화) '주님의 기도' 2025.03.14 309 이청준 신부
공지 2025년 3월 10일(월) 사순 제1주일 월요일 2025.03.12 280 이청준 신부
공지 2025년 3월 2일 연중 제8주일 2025.03.12 324 이청준 신부
공지 2025년 2월 1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 신심 미사 2025.02.12 324 이청준 신부
공지 2025년 1월 29일 수요일 설 2025.02.03 180 마산교구 사파동 성당 이청준 신부
공지 가톨릭 마산교구 주보 제2645호 _ 2024년 11월 24일 온 누리의 임금이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왕 대축일 성서 주간 file 2024.12.19 655 윤행도 가롤로 신부/ 월영본당 주임
공지 성령께 드리는 기도 _ 라틴어 '성령 송가'의 풀이 : 7쪽, 4연 ~ 마지막 단락까지 2024.11.11 863 토머스 키팅 신부//이청준 신부 번역
공지 가톨릭 마산교구 주보 제2641호 _ 2024년 10월 27일 연중 제30주일 file 2024.11.04 845 윤행도 가롤로 신부/ 월영본당 주임  
공지 성령께 드리는 기도 _ 라틴어 '성령 송가'의 풀이 : 7쪽에서 1~ 3연 지 2024.11.04 934 토머스 키팅 신부// 이청준 신부 역
공지 성령께 드리는 기도 _ 라틴어 '성령 송가'의 풀이 : 6쪽에서 4 ~ 6연까지 2024.10.13 1339 토머스 키팅 신부//이청준 신부역
공지 _가톨릭 마산교구 주보 제2636호 _ 2024년 9월 22일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와 성 정하상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들 대축일 경축 이동 2024.10.10 1353 윤행도 가롤로 신부/월영본당 주임
공지 성령께 드리는 기도 _ 라틴어 '성령 송가'의 풀이 : 6쪽에서 1 ~ 3연까지 2024.09.19 1377 토머스 키팅 신부 // 이청준 신부 역
공지 가톨릭 마산교구 주보 제2629호 _ 2024년 8월 28일 연중 제21주일 _ 향심기도란 어떤 기도인가요?(8) 2024.08.29 1461 윤행도 가를로 신부/월영본당 주임
공지 성령께 드리는 기도 _ 라틴어 '성령 송가' 풀이  _ 5쪽 2024.08.19 1517 토머스 키팅 신부// 이청준 신부 역
공지 성령께 드리는 기도_ 라틴어 '성령송가 '의 풀이 _ 5쪽에서 2연까지.. 2024.08.08 1519 토머스 키팅 신부(이청준 신부 역)
공지 가톨릭 마산교구 주보 제2628호 _ 2024년 7월 28일 연중 제17주일(세계 조부모와 노인의 날) _ 향심기도란 어떤 기도인가요?(7) 2024.08.01 1438 윤행도 가롤로 신부/ 월영본당 주임
공지 영혼의 안식을 얻을 것입니다 2024.08.01 1400 서인석 신부
공지 따름과 포기 2024.07.24 1388 임선 수녀
공지 가톨릭 마산교구 주보 제2623호 _ 2024년 6월 23일 연중 제12주일 _ 향심기도란 어떤 기도인가요?(6) 2024.07.08 1365 윤행도 가롤로 신부/ 월영본당 주임
공지 두려워 하지말라. 2024.06.23 1378 임선 수녀
공지 부르심 2024.06.18 2015 임선 수녀
공지 자비하신 마음 2024.06.10 1964 임선 수녀
공지 지극히 거룩하신 성체성혈 대축일 _ 그리스도의 몸 2024.06.03 1958 토머스 키팅 신부
공지 향심기도는 삼위일체의 신비에 동참하는 기도다. 2024.06.03 2028 이준용 신부
공지 가톨릭 마산교구 제2619호주보 _ 2024년 5월 26일 지극히 거룩하신 삼위일체 대축일 _ 향심기도란 어떤 기도인가요? (5) 2024.06.03 1902 윤행도 가롤로 신부/ 월영본당 주임
공지 성령 강림의 신비를 체험하는 향심기도 2024.05.20 2061 이준용 신부
공지 신성화되는 은총을 체험하는 향심기도! 2024.05.12 2118 이준용 신부
공지 성령과 함께하는 기도인 향심기도 2024.05.12 2035 이준용 신부
공지 가톨릭 마산교구 주보 제2618호 _ 2024년 4월 28일 부활 제5주일 __ 향심기도란 어떤 기도인가요? (4) 2024.04.28 2233 윤행도 가롤로 신부/ 월영본당 주임
1119 2025년 1월 1일 천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세계 평화의 날) 2025.01.06 121 마산교구 이청준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신부
1118 믿음으로 2024.04.28 174 윤행도 신부
1117 성소의 의미 2024.04.22 209 윤행도 신부
1116 또 다른 엠마오 2024.04.14 182 윤행도 신부
1115 하느님의 자비주일 _ 오! 헤아릴 길 없는 주님 사랑 2024.04.08 169 윤행도 신부
1114 가톨릭 마산교구 주보 제2617호 _ 2024년 3월 24일 주님 수난 성지 주일 __ 향심기도란 어떤 기도인가요? (3) 2024.03.31 229 윤행도 가롤로 신부/월영본당 주임
1113 그리스도께서 빛을 비추어 주시리라 2024.03.31 185 오창열 신부
» 주님 수난 성지주일 _ 마음에서 시작되는 신양 2024.03.24 186 오창열 신부
1111 부활이요 생명이신 주님 2024.03.17 197 오창열 신부
1110 나는 세상의 빛이다. 2024.03.11 203 오창열 신부
1109 생명의 물 2024.03.04 200 이호자 마지아 수녀
1108 기도의 산 2024.02.26 211 이호자 마지아 수녀
1107 가톨릭 마산교구 주보 제2616호 _ 2024년 2월 25일 사순 제2주일 __ 향심기도란 어떤 기도인가요? (2) 2024.02.26 228 윤행도 가롤로 신부/ 월영본당 주임
1106 사순 제1주일 _ 재의 수요일 2024.02.19 219 이청준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신부
1105 광야의 유혹 2024.02.19 223 이호자 마지아 수녀
1104 나는 과연 참 맛 나는 소금인가? 2024.02.14 182 이호자 마지아 수녀
1103 그리스도인의 참된 성품 2024.02.13 162 남재희 신부
1102 가톨릭 마산교구 주보 제2615호 _ 2024년 1월 28일 연중 제4주일 __ 향심기도란 어떤 기도인가요? (1) 2024.02.04 240 윤행도 가롤로 신부/ 월영본당 주임
1101 그가 시키는 대로 하여라 2024.01.23 248 남재희 신부
1100 하느님의 어린 양 2024.01.14 214 남재희 신부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56 Next ›
/ 56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