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관상지원단

Extra Form
작성자 윤행도 가롤로 신부/ 월영본당 주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향심기도란 어떤 기도인가요? (2)

 

윤행도 가롤로 신부/ 월영본당 주임

 

향심기도는 관상기도의 선물을 받아들이도록 준비시키는 침묵기도입니다. 관상기도를 통해 우리안에 계시며, 숨결보다 가깝고 사고보다 가까우며 의식 그 자체보다 가까운 하느님 현존을 체험합니다.

이 기도는 하느님과의 관계이면서 그 관계를 촉진시키는 훈련이기도 합니다.

향심기도는 다른 기도를 대체하고자 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모든 기도에 깊은 의미를 더하며 능동적 기도 -소리기도, 정신기도, 정감적기도- 에서 하느님 안에서 쉬는 수용적 기도로 옮아가게 도와주지요.

향심기도는, 기도가 하느님과의 인격적 관계라는 것과 그것이 그리스도와의 대화를 넘어서 그분과의 친교로 나아가는 움직임이라는 것을 강조합니다.

향심기도의 원천은, 관상기도로 이끄는 모든 방법에서와 마찬가지로 내주하시는 삼위일체, 즉 성부,

성자, 성령이십니다. 향심기도의 초점은 우리와 살아 계신 그리스도와의 관계를 심화시키는 것이며, 향심기도의 효과는 공동체적입니다. 곧 이 기도는 믿음의 공동체를 건설하고 그 구성원들을 상호 우정과 사랑 안에 결속시키는 데 이바지합니다.”(한국관상지원단 홈페이지에 실려 있는 내용입니다)

향심기도가 어떤 기도이고 어떻게 하는 기도인가를 말씀드리기 전에 왜 향심기도, 즉 관상기도를 해야만 하는 이유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발달심리학자들에 의하면 사람은 태어나고 자라면서 세 가지 기본적인 욕구가 생겨난다고 합니다.

0~2세쯤에 형성되는 안전과 생존의 욕구, 2~4세쯤에 형성되는 애정과 존중의 욕구와 힘과 통제의 욕구가 그것인데, 이 세 가지 욕구는 인간으로 하여금 삶을 살아가도록 하는 원천으로 작용합니다.

그런데 문제는 이 세 가지 욕구가 무의식(비의식)에 자리를 잡아 우리로 하여금 생각하고 판단하고 행동하게 하는, 모든 에너지의 중심이 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욕구가 충족되면 행복감이나 만족감을 느끼고 반대로 욕구가 좌절되면 불행하다고 느끼거나 분노, 슬픔 등의 부정적인 느낌을 갖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세상 모든 사람들이 자라면서 욕구의 좌절을 경험하게 되고 그때마다 보상심리가 작용하여 욕구를 충족시켜 줄 그 무엇을 찾게 되는데 그러한 과정에서 하느님의 모상대로 창조된 참자아와 반대되는 거짓 자아를 만들어내게 됩니다. 그리고 그것은 하나의 패턴으로 자리 잡아 일생 동안 우리의 삶을 좌우하게 됩니다.

몇 가지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저는 물건을 살 때 필요한 만큼만 사지 않고 항상 여유로 한두 개를 더 삽니다. 일곱 남매 중 여섯째로 자라면서 형들이 제 것을 가져갔던 기억 때문에 제 것을 여유 있게 마련하고자 하는 욕구(안전과 생존) 때문입니다.

제가 부제였을 때 강론 실습 시간에 담임 신부님이 어떤 모습의 사제로 살아갈 것인지에 대한 각자의 각오, 사목강령을 적게 하여 동료들 앞에서 발표를 시킨 적이 있습니다. 그때 제가 발표한 사목강령에는 무려 32가지의 결심이 들어 있었는데, 그중 하나가 한가위나 설 명절 때 사목위원들께 제 돈으로 선물을 해드리겠다는 것이었습니다. 그 결심대로 사제로 서품된 후 제법 오랫동안 본당 사목위원님들께 명절 선물을 드렸었는데 향심기도를 하게 되면서 그렇게 하는 숨은 동기를 찾아보았더니 사람들에게 인정받고, 칭찬 듣기 위함이었습니다(애정과 존중의 욕구). 어렸을 때 아버지로부터 칭찬받은 기억이 없어 누군가로부터 칭찬을 받고자 무의식적으로 어떤 행동들을 하게 된 것이지요. 그것을 깨닫는 순간 그 짓을 그만두었습니다. 아무리 좋은 일이거나 봉사라 하더라도 그 동기가 순수하지(정화되지) 못하면 그 일을 통해 영적으로 진보하기는커녕 오히려 퇴보하게 됩니다. ‘숨은 동기란 세 가지 욕구가 좌절되거나 완전히 충족되지 못함으로 인해 무의식 속에 잠재되어 있는 것으로써 우리의 의식이나 행동을 유발시키는 감추어진 동기를 말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작성자
공지 웨인 티스테일, ⌜신비가의 마음⌟ 2025.03.17 359 이청준 신부 역
공지 2025년 사순 제2주일 3월 11일(화) '주님의 기도' 2025.03.14 309 이청준 신부
공지 2025년 3월 10일(월) 사순 제1주일 월요일 2025.03.12 280 이청준 신부
공지 2025년 3월 2일 연중 제8주일 2025.03.12 324 이청준 신부
공지 2025년 2월 1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 신심 미사 2025.02.12 324 이청준 신부
공지 2025년 1월 29일 수요일 설 2025.02.03 180 마산교구 사파동 성당 이청준 신부
공지 가톨릭 마산교구 주보 제2645호 _ 2024년 11월 24일 온 누리의 임금이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왕 대축일 성서 주간 file 2024.12.19 655 윤행도 가롤로 신부/ 월영본당 주임
공지 성령께 드리는 기도 _ 라틴어 '성령 송가'의 풀이 : 7쪽, 4연 ~ 마지막 단락까지 2024.11.11 863 토머스 키팅 신부//이청준 신부 번역
공지 가톨릭 마산교구 주보 제2641호 _ 2024년 10월 27일 연중 제30주일 file 2024.11.04 845 윤행도 가롤로 신부/ 월영본당 주임  
공지 성령께 드리는 기도 _ 라틴어 '성령 송가'의 풀이 : 7쪽에서 1~ 3연 지 2024.11.04 934 토머스 키팅 신부// 이청준 신부 역
공지 성령께 드리는 기도 _ 라틴어 '성령 송가'의 풀이 : 6쪽에서 4 ~ 6연까지 2024.10.13 1339 토머스 키팅 신부//이청준 신부역
공지 _가톨릭 마산교구 주보 제2636호 _ 2024년 9월 22일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와 성 정하상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들 대축일 경축 이동 2024.10.10 1353 윤행도 가롤로 신부/월영본당 주임
공지 성령께 드리는 기도 _ 라틴어 '성령 송가'의 풀이 : 6쪽에서 1 ~ 3연까지 2024.09.19 1377 토머스 키팅 신부 // 이청준 신부 역
공지 가톨릭 마산교구 주보 제2629호 _ 2024년 8월 28일 연중 제21주일 _ 향심기도란 어떤 기도인가요?(8) 2024.08.29 1461 윤행도 가를로 신부/월영본당 주임
공지 성령께 드리는 기도 _ 라틴어 '성령 송가' 풀이  _ 5쪽 2024.08.19 1517 토머스 키팅 신부// 이청준 신부 역
공지 성령께 드리는 기도_ 라틴어 '성령송가 '의 풀이 _ 5쪽에서 2연까지.. 2024.08.08 1519 토머스 키팅 신부(이청준 신부 역)
공지 가톨릭 마산교구 주보 제2628호 _ 2024년 7월 28일 연중 제17주일(세계 조부모와 노인의 날) _ 향심기도란 어떤 기도인가요?(7) 2024.08.01 1438 윤행도 가롤로 신부/ 월영본당 주임
공지 영혼의 안식을 얻을 것입니다 2024.08.01 1400 서인석 신부
공지 따름과 포기 2024.07.24 1388 임선 수녀
공지 가톨릭 마산교구 주보 제2623호 _ 2024년 6월 23일 연중 제12주일 _ 향심기도란 어떤 기도인가요?(6) 2024.07.08 1365 윤행도 가롤로 신부/ 월영본당 주임
공지 두려워 하지말라. 2024.06.23 1378 임선 수녀
공지 부르심 2024.06.18 2015 임선 수녀
공지 자비하신 마음 2024.06.10 1964 임선 수녀
공지 지극히 거룩하신 성체성혈 대축일 _ 그리스도의 몸 2024.06.03 1958 토머스 키팅 신부
공지 향심기도는 삼위일체의 신비에 동참하는 기도다. 2024.06.03 2028 이준용 신부
공지 가톨릭 마산교구 제2619호주보 _ 2024년 5월 26일 지극히 거룩하신 삼위일체 대축일 _ 향심기도란 어떤 기도인가요? (5) 2024.06.03 1902 윤행도 가롤로 신부/ 월영본당 주임
공지 성령 강림의 신비를 체험하는 향심기도 2024.05.20 2061 이준용 신부
공지 신성화되는 은총을 체험하는 향심기도! 2024.05.12 2118 이준용 신부
공지 성령과 함께하는 기도인 향심기도 2024.05.12 2035 이준용 신부
공지 가톨릭 마산교구 주보 제2618호 _ 2024년 4월 28일 부활 제5주일 __ 향심기도란 어떤 기도인가요? (4) 2024.04.28 2233 윤행도 가롤로 신부/ 월영본당 주임
1119 2025년 1월 1일 천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세계 평화의 날) 2025.01.06 121 마산교구 이청준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신부
1118 믿음으로 2024.04.28 174 윤행도 신부
1117 성소의 의미 2024.04.22 209 윤행도 신부
1116 또 다른 엠마오 2024.04.14 182 윤행도 신부
1115 하느님의 자비주일 _ 오! 헤아릴 길 없는 주님 사랑 2024.04.08 169 윤행도 신부
1114 가톨릭 마산교구 주보 제2617호 _ 2024년 3월 24일 주님 수난 성지 주일 __ 향심기도란 어떤 기도인가요? (3) 2024.03.31 229 윤행도 가롤로 신부/월영본당 주임
1113 그리스도께서 빛을 비추어 주시리라 2024.03.31 185 오창열 신부
1112 주님 수난 성지주일 _ 마음에서 시작되는 신양 2024.03.24 186 오창열 신부
1111 부활이요 생명이신 주님 2024.03.17 197 오창열 신부
1110 나는 세상의 빛이다. 2024.03.11 203 오창열 신부
1109 생명의 물 2024.03.04 200 이호자 마지아 수녀
1108 기도의 산 2024.02.26 211 이호자 마지아 수녀
» 가톨릭 마산교구 주보 제2616호 _ 2024년 2월 25일 사순 제2주일 __ 향심기도란 어떤 기도인가요? (2) 2024.02.26 228 윤행도 가롤로 신부/ 월영본당 주임
1106 사순 제1주일 _ 재의 수요일 2024.02.19 219 이청준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신부
1105 광야의 유혹 2024.02.19 223 이호자 마지아 수녀
1104 나는 과연 참 맛 나는 소금인가? 2024.02.14 182 이호자 마지아 수녀
1103 그리스도인의 참된 성품 2024.02.13 162 남재희 신부
1102 가톨릭 마산교구 주보 제2615호 _ 2024년 1월 28일 연중 제4주일 __ 향심기도란 어떤 기도인가요? (1) 2024.02.04 240 윤행도 가롤로 신부/ 월영본당 주임
1101 그가 시키는 대로 하여라 2024.01.23 248 남재희 신부
1100 하느님의 어린 양 2024.01.14 214 남재희 신부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56 Next ›
/ 56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