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관상지원단

2014.02.08 10:14

연중 제5주일

조회 수 3148 추천 수 0 댓글 0
Extra Form
작성자 안충석 루까 신부 <anchs67@hanmail.ne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너희는 세상의 소금이다. 세상의 빛이다.

 

소금은 모든 음식물의 맛을 내주고 썩지 않게 해준다. 너희는 세상에서 하느님 나라 사는 맛을 내 주는 소금이다. 소금은 자신을 스스로 녹여서 모든 음식물의 맛을 내듯이 십자가의 희생하는 사랑으로 이 세상에서 하느님 나라를 사는 사랑의 맛을 내 준다. 하느님 나라는 자기 자신을 희생으로 바치는 십자가 사랑으로서 사랑하는 사람과 더불어 사는 공동체로서 이 세상에서 살아 나아갈 수 있다는 것이다.

 

복음성서 말씀이 우리에게 생명의 말씀이고 이 세상 살아 나아가는 맛을 내는 세상에 소금이다. “그러나 소금이 제 맛을 잃으면 무엇으로 다시 짜게 할 수 있겠느냐(마태 5장 13절)라는 경고 말씀도 주께서는 지적하신다.

 

이 세상을 이기는 신앙으로 하느님 나라 사는 복음의 기쁨 없이 내 짐이 감미롭고 가볍기는커녕 짐스럽고 주체할 길이 없는 살 맛 없는 하느님 나라 사는 것이라면 소금이 제 맛을 잃어버린 것이리라.

 

너희는 세상의 빛이다. 작은 촛불은 자신을 불태워 주위에 빛을 발산하여 비추어준다. 소금이 맛나게 하고 썩는 것을 막는 것처럼 빛도 세상의 길이요 진리로서 세상의 어두움과 싸워서 빛의 승리로 나아간다. 등불을 켜서 함지박 속이 아니라 등경위에 놓는다. 그리하여 집안에 있는 모든 사람을 비춘다. 참된 빛은 착한 행실이다. 이는 일상생활 속에 파고들어 현실화 된 빛이다. 착한 행실은 착한 행동으로 그 열매가 나타난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말한다. 또한 「신앙의 빛」회칙에서 신앙은 길을 밝혀주는 빛입니다.

 

“당신 말씀은 제 발에 등불, 저의 길에 빛입니다.”(시편 119, 105)

 

이 세상의 어두움이 빛을 이겨본 적이 없다는 요한복음 1장에 지적대로 이 세상을 이기는 신앙의 빛으로 이 세상의 어두움을 이겨야 한다. 마치 한 자루의 촛불이 다 타서 마지막까지 어두움과 싸워 이기듯이 말이다.

 

“눈은 몸의 등불이다”(루카 11,34. 마태 6, 22). 그러므로 네 눈이 맑으면 온 몸도 환하고 네 눈이 성하지 못하면 온몸도 어두울 것이다. 그러니 네 안에 있는 빛이 어둠이면 그 어두움이 얼마나 짙겠느냐?(마태 6, 23)

 

최근에 우리나라에서 정치, 경제, 사회에 세상의 소금이 되고 세상의 빛이 될 우리 그리스도인들이 소금의 제 맛을 잃고 등불을 켜서 함지 속에 덮어버리려는 자들의 아우성 소리치고 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신앙의 빛 회칙」에서 우리시대의 이에 맞서 비록 적은 촛불들이 모여 촛불 집회니 촛불 시국 기도 미사를 우리는 올린다. 너희는 세상의 소금이다. 세상의 빛이라는 하느님 나라 사는 맛과 빛의 사명을 다하기 위하여 등경 위에 놓는 촛불 빛이 되는 기도와 미사를 올린다.

 

이쯤에서 평화 운동가 에이브러햄 머스트의 일화를 한 토막 들려주겠다.

에이브러햄 머스트는 베트남 전쟁 당시 백악관 앞에서 밤마다 촛불을 들었다.

어느 비 오는 날 저녁 한 방송 기자가 물었다.

“혼자서 이런다고 세상이 변하고 나라 정책이 바뀌리라고 생각하십니까?”

그러자 그는 조용히 대답했다.

“나는 이 나라의 정책을 변화시키려고 여기 있는 게 아닙니다. 이 나라가 나를 변질시키지 못하도록 하려고 이 일을 하는 겁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문화적 상황을 이렇게 지적하신다. “신앙은 우리의 어둠을 비추는 빛입니다(4항). 빛보다 어둠을 더 좋아하지 않는데 실제로는 빛보다 어둠에 더 많이 처해있는 게 우리의 실정이다. 빛을 원하면서도 스스로 어두워지는 이유는 어디에 있을까? 자기 자신이 빛이 되려 하거나 인위적으로 가공된 어떤 것을 빛으로 삼으면 자기도 모르는 사이 어둡게 되기 마련이다.

 

그렇다. 나는 오늘 이 나라의 어두움이 나를 변질시키지 못하도록 촛불집회 미사를 바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작성자
공지 자비하신 마음 2024.06.10 72 임선 수녀
공지 지극히 거룩하신 성체성혈 대축일 _ 그리스도의 몸 2024.06.03 84 토머스 키팅 신부
공지 향심기도는 삼위일체의 신비에 동참하는 기도다. 2024.06.03 56 이준용 신부
공지 가톨릭 마산교구 제2619호주보 _ 2024년 5월 26일 지극히 거룩하신 삼위일체 대축일 _ 향심기도란 어떤 기도인가요? (5) 2024.06.03 65 윤행도 가롤로 신부/ 월영본당 주임
공지 성령 강림의 신비를 체험하는 향심기도 2024.05.20 95 이준용 신부
공지 신성화되는 은총을 체험하는 향심기도! 2024.05.12 80 이준용 신부
공지 성령과 함께하는 기도인 향심기도 2024.05.12 74 이준용 신부
공지 가톨릭 마산교구 주보 제2618호 _ 2024년 4월 28일 부활 제5주일 __ 향심기도란 어떤 기도인가요? (4) 2024.04.28 104 윤행도 가롤로 신부/ 월영본당 주임
1118 성탄, 공현 신비 2013.03.14 4900 한국관상지원단
1117 성령 강림 대축일 file 2013.05.17 4869 토머스 키팅 신부 / 이청준 옮김
1116 연중 제 18주일 - 청원기도 생활 2013.03.14 4779 안 충석 루까 신부 anchs@catholic.co.kr
1115 국제 관상지원단 사명 선언문(1항~ 4항까지) 2013.03.14 4715 한국관상지원단 koreacontout@gmail.com
1114 삼위일체 대축일(청소년 축일) 2013.05.27 4707 국제관상지원단 / 이청준 옮김
1113 주님 수난 성지 주일 2013.03.23 4652 성공회 변승철 요한 신부 yuleum@hanmail.net
1112 사순 제5주일 2013.03.16 4560 성공회 변승철 요한 신부 yuleum@hanmail.net
1111 하느님의 자비주일 묵상-오! 헤아릴길 없는 주님 사랑 2013.03.14 4551 윤행도 신부 munyman61@hanmail.net
1110 부활 제5주일(이민의 날) 2013.04.30 4550 예수랑 교회 전주희 목사 truth <rising223@hanmail.net>
1109 사순 제5주일-밀알 하나가 땅에 떨어져 2013.03.14 4453 서인석 신부
1108 주의 공현 대축일 2013.03.14 4404 안충석 루까 신부
1107 부활 제3주일 2013.04.15 4392 예수랑 교회 전주희 목사 truth <rising223@hanmail.net>
1106 < 갈6:14-18 > 자랑할 것 없는 쉼과 가벼움 2013.03.14 4391 전주희 목사 rising223@hanmail.net
1105 주님공현대축일 묵상 - 넷째 왕의 전설 2013.03.14 4380 안충석 루까 신부 anchs@catholic.or.kr
1104 연중 제12주일 2013.06.22 4374 오방식 목사 bsotm@hanmail.net
1103 성소주일 묵상 - 성소의 의미 2013.03.14 4329 윤행도 신부 munyman61@hanmail.net
1102 연중 8주일-성령을 나타내는 표상, 새 포도주 2013.03.14 4293 토머스 키팅
1101 그리스도 왕 대축일(요한 18,33ㄴ-37) 2013.03.15 4290 윤행도 가롤로 신부 munyman61@hanmail.net
1100 향심 기도는 삼위일체의 신비에 동참하는 기도이다 2013.03.14 4256 이준용신부 andyjesu@hanmail.net
1099 대림 4주일 묵상 - 마리아와 엘리사벳의 만남 2013.03.14 4254 오창열 신부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56 Next ›
/ 56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