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관상지원단

조회 수 4071 추천 수 0 댓글 0
Extra Form
작성자 윤행도 가롤로 신부 <munyman61@hanmail.ne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인간의 이중성

 

저는 이중인격자입니다. 가깝고 친한 사람의 실수는 웃으며 넘기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의 실수는 심하게 나무라며 꾸중을 하고, 가진 것이 많고 배우 것이 많은 사람에게는 친절하고 살갑게 대하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에게는 퉁명스럽고 귀찮은 듯 한 태도를 취합니다. 힘있는 사람에게는 굽실거리며 머리를 조아리지만 힘없는 사람에게는 목에 힘을 주고 눈꼬리를 치켜 올리고, 면담을 할 때는 더없이 편안하고 너그러운 모습이지만 조그만 일에도 신경질을 내고 화가 났을 때는 온갖 험한 말을 거침없이 쏟아냅니다.

 

왜 그럴까? 왜 인간은 이렇게 이중적인 모습일까? 궁금했습니다. 그래서 나름대로 묵상해 보았더니 약간의 실마리를 잡을 수 있었습니다. 가톨릭 교리에 얼마나 부합하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제가 나름대로 내린 결론은 이렇습니다. ‘인간의 이중성은 아담과 하와가 범죄하여 낙원에서 쫓겨났을 때 생겨난 것이다. 범죄 이전 하느님과 함께 있을 때에는 하느님과 일치의 상태였기에 이중성 자체가 있을 수 없었다. 그러나 범죄로 인해 하느님과 분리됨으로 인해 생겨난 것이 인간의 이중성이다. 그러므로 이중성을 극복하고 하나 된 인격체가 되는 것, 그것이 바로 낙원으로 되돌아가는 길이며 하느님과 일치되는 길이다.’

 

오늘의 복음에 나오는 세 가지 비유는(되찾은 양, 되찾은 은전, 되찾은 아들) 회개에 대해 말씀하고 있지만 저는 조금은 다른 각도에서 오늘의 말씀을 묵상해 보았는데, 바로 인간의 이중성입니다.

 

되찾은 아들의 비유에서(15,11-32) 아버지의 재산을 물려받아 집을 떠났다가 거지가 되어 다시 아버지의 집으로 돌아온 작은 아들과, 아버지의 집에서 아버지를 모시고 충실히 일한 큰 아들은 인간의 이중적인 모습을 보여줍니다. 자신의 잘못에 대해서는 관대한 용서를 청하면서도 다른 사람의 잘못에 대해서는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는 모습이 그러합니다. 같은 아버지의 아들이지만 두 사람의 모습은 정반대입니다. 인간의 이중성도 이와 같습니다. 같은 인격체 안에 있는 모습임에도 드러나는 모습은 정반대입니다. 작은 아들이 아버지의 집을 떠나지 않았을 때는 큰 아들(형님) 별 문제가 없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집을 떠났다가 다시 돌아왔을 때는 형님이 아우를 형제로 받아들이지 않습니다(동생이라고 표현하지 않고 저 아들이라고 표현합니다). 하지만 아버지의 사랑은 큰 아들과 작은 아들의 불화를 덮고도 남습니다. 성경에는 나오지 않습니다만 결국에는 큰 아들도 작은 아들을 동생으로 받아들였을 것입니다. 아버지의 넘치는 사랑에 의해서 말입니다. 아버지의 사랑 안에서 큰 아들과 작은 아들이 화해하는 것, 그것이 바로 이중성의 극복이며 회개의 또 다른 모습입니다.

 

제 안에 있는 큰 아들과 작은 아들도 화해를 해야 합니다. 제 안에 있는 큰 아들과 작은 아들의 화해를 위해 오늘도 아버지의 사랑에 의탁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작성자
공지 자비하신 마음 2024.06.10 50 임선 수녀
공지 지극히 거룩하신 성체성혈 대축일 _ 그리스도의 몸 2024.06.03 63 토머스 키팅 신부
공지 향심기도는 삼위일체의 신비에 동참하는 기도다. 2024.06.03 38 이준용 신부
공지 가톨릭 마산교구 제2619호주보 _ 2024년 5월 26일 지극히 거룩하신 삼위일체 대축일 _ 향심기도란 어떤 기도인가요? (5) 2024.06.03 44 윤행도 가롤로 신부/ 월영본당 주임
공지 성령 강림의 신비를 체험하는 향심기도 2024.05.20 66 이준용 신부
공지 신성화되는 은총을 체험하는 향심기도! 2024.05.12 62 이준용 신부
공지 성령과 함께하는 기도인 향심기도 2024.05.12 58 이준용 신부
공지 가톨릭 마산교구 주보 제2618호 _ 2024년 4월 28일 부활 제5주일 __ 향심기도란 어떤 기도인가요? (4) 2024.04.28 77 윤행도 가롤로 신부/ 월영본당 주임
438 연중 제26주일 (마태오 21, 28-32)- 두 아들의 비유 2013.03.14 3912 정명희 소피아 수녀 sophiach@hanmail.net
437 대림 제4주일 2013.03.14 3732 정명희 소피아 수녀 sophiach@hanmail.net
436 연중 제22주일 2013.03.15 3642 정명희 소피아 수녀 sophiach@hanmail.net
435 예수, 마리아, 요셉의 성가정 축일(가정 성화의 주간) 2013.03.14 3592 정명희 소피아 수녀 sophiach@hanmail.net
434 연중 제12주일 ( 마태 10,26 ~ 33 ) 2013.03.14 3236 정혜선 세라피나 수녀 srsera25@hanmail.net
433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사도 대축일 2013.03.14 3769 정혜선 세라피나 수녀 srsera25@hanmail.net
432 연중 제9주일 ( 마태 7,21 ~ 27 ) 2013.03.14 3503 정혜선 세리피나 수녀 srsera25@hanmail.net
431 연중 제10주일 ( 마태 9,9 ~ 13 ) 2013.03.14 3007 정혜선 세리피나 수녀 srsera25@hanmail.net
430 연중 제10주일 ( 마태 9,9 ~ 13 ) 2013.03.14 3186 정혜선 세리피나 수녀 srsera25@hanmail.net
429 연중 제 19주일 묵상 - 믿음이 약한 사람 2013.03.14 3228 차덕희 알벨도 수녀 bert276@hanmail.net
428 연중 제 20주일 묵상 - 믿음이 장한 여인아! 2013.03.14 3205 차덕희 알벨도 수녀 bert276@hanmail.net
427 연중 제 21주일 묵상 - 너에게 내가 누구냐? 2013.03.14 3210 차덕희 알벨도 수녀 bert276@hanmail.net
426 연중 제22주일 묵상 - 하느님의 일을 하시게.. 2013.03.14 3130 차덕희 알벨도 수녀 bert276@hanmail.net
425 연중 제23주일 2014.09.06 1587 천정철 세례자 요한 신부 <kenosis1000@hanmail.net>
424 성 십자가 현양 축일 2014.09.12 1737 천정철 세례자 요한 신부 <kenosis1000@hanmail.net>
423 성 김대건 안드레아와 성 정하상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들 대축일 경축이동 2014.09.19 1491 천정철 세례자 요한 신부 <kenosis1000@hanmail.net>
422 연중 제26주일 2014.09.26 1521 천정철 세례자 요한 신부 <kenosis1000@hanmail.net>
421 대림 제3주일 2013.03.14 3729 천정철 요한 신부 kenosis1000@naver.com
420 사순 제2주일 < 거룩한 변모 > 2013.03.14 3202 천정철 요한 신부 kenosis1000@naver.com
419 주님 공현 대축일 2013.03.15 3785 천정철 요한 신부 kenosis1000@naver.com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 56 Next ›
/ 56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