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관상지원단

조회 수 4247 추천 수 0 댓글 0
Atachment
첨부파일 '1'
Extra Form
작성자 토머스 키팅 신부 / 이청준 옮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사본123 -20120331_162211.jpg

 

단순성

 

국제관상지원단 소식지 28권 1호(2011년 12월), 토머스 키팅/이청준 옮김

 

단순성이란 인간 기능들이 통합과 통일을 이룬 것이다. 그것은 산전체가 떠받치고 있는 산봉우리와 같다. 산은, 서로 연결되어 서로 의존하고 있는 여러 부분들로 구성되어 있다. 각 부분은 다른 부분과 완벽하게 조화를 이루면서도 각각의 본성에 따라 작용한다. 식물적, 동물적, 인간적 기능들이 협력하며 저마다 나름의 방식으로 기여하면서, 보다 발전된 의식 차원으로 통합된다. 이렇게 해서 모든 기능들이 영적 의지에 완전히 승복하며, 이제 영적 의지는 자신 안에서나 타인과의 관계에서나 신적 의지에 온전히 개방된다.

 

결국 단순성이란 모든 부분들이 완전한 질서를 이루어 전체가 편안하고 즐겁고 평화롭게 작동하는 것이다. 모든 것이 쉽고 자연스러우며 조화롭기에 단순해 보인다. 그런데 사실은 단순성이란 복잡다단함의 결과다. 말하자면 단순성은 여러 요소들이 통일된 목표를 향해 질서를 이루고, 하느님을 무한히 신뢰하고 놓아버리는 훈련을 하겠다는 동기를 가짐으로써 생겨난다.

 

단순성으로 가는 길은 단순한 생활양식과 기도 생활과 더불어 시작된다. 단순성은 우리 안에 분열과 평화의 결핍을 낳는 의식적 무의식적 집착에서 우리를 해방시킨다. 단순성은 격앙된 감정을 누그러뜨린다. 격앙된 감정은 우리를 갈가리 찢어놓으며 (관계와 소속감 속에서 누렸던) 삶에 뿌리내리고 있다는 느낌을 완전히 없애버린다. 어쨌든 일상의 부침浮沈이나 재앙 같은 것이 집착과 과도한 정서적 반응을 일으키기 마련이다.

 

단순성은 일상에서 관상과 활동이 합일을 이룬 것이다. 관상과 활동이 같은 것이 아니지만, 그렇다고 따로 분리된 것도 아니다. 둘은 구별되지만 하느님께서는 관상 안에서나 활동 안에서나 똑같이 계신다. 둘 중 어느 하나에 존재하지 못하는 것은 바로 우리다.

 

단순성의 바탕은 우리 자신, 하느님 그리고 모든 실재에 관한 진리이다. 단순성은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는 것, 즉 진정한 겸손이다.    -끝-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작성자
공지 자비하신 마음 2024.06.10 29 임선 수녀
공지 지극히 거룩하신 성체성혈 대축일 _ 그리스도의 몸 2024.06.03 42 토머스 키팅 신부
공지 향심기도는 삼위일체의 신비에 동참하는 기도다. 2024.06.03 23 이준용 신부
공지 가톨릭 마산교구 제2619호주보 _ 2024년 5월 26일 지극히 거룩하신 삼위일체 대축일 _ 향심기도란 어떤 기도인가요? (5) 2024.06.03 25 윤행도 가롤로 신부/ 월영본당 주임
공지 성령 강림의 신비를 체험하는 향심기도 2024.05.20 40 이준용 신부
공지 신성화되는 은총을 체험하는 향심기도! 2024.05.12 37 이준용 신부
공지 성령과 함께하는 기도인 향심기도 2024.05.12 37 이준용 신부
공지 가톨릭 마산교구 주보 제2618호 _ 2024년 4월 28일 부활 제5주일 __ 향심기도란 어떤 기도인가요? (4) 2024.04.28 49 윤행도 가롤로 신부/ 월영본당 주임
1118 성탄, 공현 신비 2013.03.14 4895 한국관상지원단
1117 주의 공현 대축일 2013.03.14 4398 안충석 루까 신부
1116 주님 세례 축일 - 순종과 겸손 2013.03.14 4120 한국관상지원단
1115 연중 3주일-우리의 역할을 넘어서는 일 2013.03.14 3975 토머스 키팅
1114 연중 2주간-부르짖는 이의 소리 2013.03.14 4059 강영옥
1113 주님 봉헌 축일 - 가나안 여인에 대한 묵상 2013.03.14 3942 토머스 키팅
1112 연중 5주일-온갖 병자들을 고쳐주시는 예수님 2013.03.14 4023 토머스 키팅
1111 신앙의 위기 2013.03.14 3880 토머스 키팅
1110 연중 7주일-양심을 다스리는 권한 2013.03.14 4004 리카르트 굿츠빌러
1109 연중 8주일-성령을 나타내는 표상, 새 포도주 2013.03.14 4287 토머스 키팅
1108 사순 제1주일 - 유혹과 대항한다는 것은 2013.03.14 3949 안충석 루까 신부
1107 사순 제2주일-주의 변모 축일 2013.03.14 3836 안충석 루까 신부
1106 사순 제3주일-성전 정화사건 2013.03.14 4114 안충석 루까 신부
1105 사순 제4주일 -예수 수난의 正道 2013.03.14 3941 안충석 루까 신부
1104 사순 제5주일-밀알 하나가 땅에 떨어져 2013.03.14 4450 서인석 신부
1103 주님 수난 성지 주일 2013.03.14 4010 서인석 신부
1102 예수 부활 대축일-부활의 첫 증인들 2013.03.14 3961 서인석 신부
1101 예수 부활 대축일 - 부활의 첫 증인들 2013.03.14 3896 서인석 신부
1100 부활 2주일 - 그대들에게 평화! 2013.03.14 3802 서인석 신부
1099 부활 3주일-택시기사와 손님 2013.03.14 3895 김기홍 신부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56 Next ›
/ 56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