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관상지원단

2013.03.15 08:45

연중 제30주일

조회 수 3724 추천 수 0 댓글 0
Extra Form
작성자 이건종 목사 salllee@hanafos.co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마가복음 10:46-52 눈먼 바디매오가 고침받다

그들은 여리고에 갔다. 예수께서 제자들과 큰 무리와 함께 여리고를 떠나실 때에, 디매오의 아들 바디매오라는 눈먼 거지가 길 가에 앉아 있다가 나사렛 사람 예수가 지나가신다는 말을 듣고 “다윗의 자손 예수님, 나를 불쌍히 여겨 주십시오” 하고 외치며 말하기 시작하였다. 그래서 많은 사람이 조용히 하라고 그를 꾸짖었으나, 그는 더욱 더 큰소리로 외쳤다. “다윗의 자손님, 나를 불쌍히 여겨 주십시오.” 예수께서 걸음을 멈추시고, 그를 불러오라고 말씀하셨다. 그리하여 그들은 그 눈먼 사람을 불러서 그에게 말하였다. “용기를 내어 일어나시오. 예수께서 당신을 부르시오.” 그는 자기의 겉옷을 벗어 던지고, 벌떡 일어나서 예수께로 왔다. 예수께서 그에게 말씀하셨다. “내가 너에게 무엇을 하여 주기를 바라느냐?” 그 눈먼 사람이 예수께 말하였다. “선생님, 내가 다시 볼 수 있게 하여 주십시오.”예수께서 그에게 말씀하셨다. “가거라. 네 믿음이 너를 구원하였다.”그러자 그 눈먼 사람은 곧 다시 보게 되었다. 그리고 그는 예수가 가시는 길을 따라 나섰다.

눈먼 거지 바디매오의 이야기는 언제나 읽어도 깊은 감동을 줍니다. 길가에서 구걸하던 눈먼 거지가 예수님의 발걸음을 멈추게 하고, 고침을 받고는 예수님의 가시는 길에 함께 동행할 수 있는 특권까지 갖게 되었다고 하는 것은 인생의 대단한 역전이며 기적입니다. 이 기적을 만들어 낸 것은 다름 아닌 “고통 가운데서의 부르짖음”입니다.

고통은 모든 인류의 실존입니다. 그러나 고통은 아픔 그 이상의 무엇을 담고 있습니다. 토마스 머튼은 새들의 노래소리 뿐만 아니라 개들의 짖는 소리와 만물의 모든 몸짓이 하나님을 찾고 그리워하는 것을 나타낸다고 하였습니다. 고통 속에는 온전함을 향한 그리움이 그 안에 내포되어 있습니다. 눈먼 거지 바디매오가 예수님께 다가갔을 때, “내가 너에게 무엇을 하여 주기를 바라느냐?” 라는 주님의 질문에, 눈먼 사람이 “다시” 볼 수 있게 해 주십시오 라고 대답한 것을 보면, 그는 이전에 밝은 눈을 가지고 세상을 살았던 사람입니다. 이전에 빛 가운데 살았던 기억을 갖고 있는 거지 바디매오는 나면서부터 소경이었던 사람과는 달리 광명의 세상에 대한 그리움, 빛을 향한 갈망이 누구보다 컸을 것이며, 그의 간절한 부르짖음이 예수님의 발걸음을 멈추게 한 것이라 생각합니다. 더 나아가서 고통은 기억나게 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집 나간 탕자가 돼지가 먹는 열매를 먹으며 굶주리게 되었을 때 아버지 집을 생각하게 된 것처럼 말입니다.

고통은 달콤함에 젖어서 살아가던 현실에서 우리의 생각을 근원으로 돌이키게 해 주고, 잊어버렸던 것을 생각나게 해 줍니다. 그러나 그 고통이 해결되면 많은 이들이 다시 옛날의 삶으로 되돌아갑니다. 그 점에서 바디매오는 달랐습니다. 눈을 뜨는 것으로 그치지 않고, 그는 예수님이 가시는 길을 따라나섰습니다. 요즘 “힐링”이라는 것이 주요한 관심사가 되었고, 그것을 가지고 장사하는 사람도 많아졌습니다. 힐링을 목적으로 하는 곳에서는 진정한 신비는 일어나지 않습니다. 참 신비, 진정한 치유는 근원으로 돌아갈 때, 참 제자가 되어 따를 때 일어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작성자
공지 자비하신 마음 2024.06.10 73 임선 수녀
공지 지극히 거룩하신 성체성혈 대축일 _ 그리스도의 몸 2024.06.03 85 토머스 키팅 신부
공지 향심기도는 삼위일체의 신비에 동참하는 기도다. 2024.06.03 57 이준용 신부
공지 가톨릭 마산교구 제2619호주보 _ 2024년 5월 26일 지극히 거룩하신 삼위일체 대축일 _ 향심기도란 어떤 기도인가요? (5) 2024.06.03 67 윤행도 가롤로 신부/ 월영본당 주임
공지 성령 강림의 신비를 체험하는 향심기도 2024.05.20 96 이준용 신부
공지 신성화되는 은총을 체험하는 향심기도! 2024.05.12 81 이준용 신부
공지 성령과 함께하는 기도인 향심기도 2024.05.12 75 이준용 신부
공지 가톨릭 마산교구 주보 제2618호 _ 2024년 4월 28일 부활 제5주일 __ 향심기도란 어떤 기도인가요? (4) 2024.04.28 104 윤행도 가롤로 신부/ 월영본당 주임
738 연중 제4주일 (해외 원조 주일) 2013.03.15 3337 안충석 루까 신부 anchs@catholic.or.kr
737 예수 부활 대축일 2013.03.14 3337 김종봉 요한 신부 baramjohn@hanmail.net
736 연중 제 2주일 묵상 - 하느님의 어린 양 2013.03.14 3337 남재희 신부
735 연중 제12주일 2013.03.14 3328 왕영수 신부
734 연중 제12주일 묵상-너희는 나를 누구라고 생각하느냐 2013.03.14 3327 오창열 신부
733 사순 제4주일 2013.03.15 3325 정규완 신부
732 연중 제7주일 2013.03.15 3325 윤행도 가를로 신부 munyman61@hanmail.net
731 예수, 마리아, 요셉의 성가정 축일 2013.03.14 3325 천정철 요한 신부 kenosis1000@naver.com
730 연중 제 32주일 묵상 - 위령성월을 맞이하며 2013.03.14 3325 안충석 루까 신부 anchs@catholic.or.kr
729 연중 제29주일 (전교주일) 2013.03.14 3324 이호자 마지아 수녀 jaho264@hanmail.net
728 예수 부활 대축일 ( 요한 20, 1 ~ 9 ) 2013.03.14 3322 김종봉 요한 신부 baramjohn@hanmail.net
727 주님 공현 대축일 ( 마태 2,1 - 12 ) 2013.03.14 3318 임선 세실리아 수녀 cecil316@hanmail.net
726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사도 대축일 2013.03.14 3317 오창열 신부
725 사순 제1주일묵상-사순절의 영적여정,회개와 믿음 2013.03.14 3315 오창열사도요한신부 ocyjohn@hanmail.net
724 사순 제 2주일 묵상 2013.03.14 3312 박순원 신부 pkswon@hanmail.net
723 연중 제 24주일 묵상 - 사랑에 이유가 있다면 2013.03.14 3309 이세영 수녀
722 연중 제3주일(루카 1,1-4: 4,14-21) 2013.03.14 3308 오창열 사도요한 신부 ocyjohn@hanmail.net
721 사순 제6주일 주님 수난 성지 주일 (마태 27,11 ~ 54) 2013.03.14 3307 김종봉 요한 신부 baramjohn@hanmail.net
720 연중 제24주일 - 회개하라! 2013.03.14 3305 이호자 마지아 수녀 jaho264@hanmail.net
719 연중 제19주일 ( 마태 14,22 ~ 33 ) 2013.03.14 3301 안충석 루까 신부 anchs@catholic.or.kr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56 Next ›
/ 56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