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관상지원단

2013.03.15 08:45

연중 제30주일

조회 수 3724 추천 수 0 댓글 0
Extra Form
작성자 이건종 목사 salllee@hanafos.co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마가복음 10:46-52 눈먼 바디매오가 고침받다

그들은 여리고에 갔다. 예수께서 제자들과 큰 무리와 함께 여리고를 떠나실 때에, 디매오의 아들 바디매오라는 눈먼 거지가 길 가에 앉아 있다가 나사렛 사람 예수가 지나가신다는 말을 듣고 “다윗의 자손 예수님, 나를 불쌍히 여겨 주십시오” 하고 외치며 말하기 시작하였다. 그래서 많은 사람이 조용히 하라고 그를 꾸짖었으나, 그는 더욱 더 큰소리로 외쳤다. “다윗의 자손님, 나를 불쌍히 여겨 주십시오.” 예수께서 걸음을 멈추시고, 그를 불러오라고 말씀하셨다. 그리하여 그들은 그 눈먼 사람을 불러서 그에게 말하였다. “용기를 내어 일어나시오. 예수께서 당신을 부르시오.” 그는 자기의 겉옷을 벗어 던지고, 벌떡 일어나서 예수께로 왔다. 예수께서 그에게 말씀하셨다. “내가 너에게 무엇을 하여 주기를 바라느냐?” 그 눈먼 사람이 예수께 말하였다. “선생님, 내가 다시 볼 수 있게 하여 주십시오.”예수께서 그에게 말씀하셨다. “가거라. 네 믿음이 너를 구원하였다.”그러자 그 눈먼 사람은 곧 다시 보게 되었다. 그리고 그는 예수가 가시는 길을 따라 나섰다.

눈먼 거지 바디매오의 이야기는 언제나 읽어도 깊은 감동을 줍니다. 길가에서 구걸하던 눈먼 거지가 예수님의 발걸음을 멈추게 하고, 고침을 받고는 예수님의 가시는 길에 함께 동행할 수 있는 특권까지 갖게 되었다고 하는 것은 인생의 대단한 역전이며 기적입니다. 이 기적을 만들어 낸 것은 다름 아닌 “고통 가운데서의 부르짖음”입니다.

고통은 모든 인류의 실존입니다. 그러나 고통은 아픔 그 이상의 무엇을 담고 있습니다. 토마스 머튼은 새들의 노래소리 뿐만 아니라 개들의 짖는 소리와 만물의 모든 몸짓이 하나님을 찾고 그리워하는 것을 나타낸다고 하였습니다. 고통 속에는 온전함을 향한 그리움이 그 안에 내포되어 있습니다. 눈먼 거지 바디매오가 예수님께 다가갔을 때, “내가 너에게 무엇을 하여 주기를 바라느냐?” 라는 주님의 질문에, 눈먼 사람이 “다시” 볼 수 있게 해 주십시오 라고 대답한 것을 보면, 그는 이전에 밝은 눈을 가지고 세상을 살았던 사람입니다. 이전에 빛 가운데 살았던 기억을 갖고 있는 거지 바디매오는 나면서부터 소경이었던 사람과는 달리 광명의 세상에 대한 그리움, 빛을 향한 갈망이 누구보다 컸을 것이며, 그의 간절한 부르짖음이 예수님의 발걸음을 멈추게 한 것이라 생각합니다. 더 나아가서 고통은 기억나게 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집 나간 탕자가 돼지가 먹는 열매를 먹으며 굶주리게 되었을 때 아버지 집을 생각하게 된 것처럼 말입니다.

고통은 달콤함에 젖어서 살아가던 현실에서 우리의 생각을 근원으로 돌이키게 해 주고, 잊어버렸던 것을 생각나게 해 줍니다. 그러나 그 고통이 해결되면 많은 이들이 다시 옛날의 삶으로 되돌아갑니다. 그 점에서 바디매오는 달랐습니다. 눈을 뜨는 것으로 그치지 않고, 그는 예수님이 가시는 길을 따라나섰습니다. 요즘 “힐링”이라는 것이 주요한 관심사가 되었고, 그것을 가지고 장사하는 사람도 많아졌습니다. 힐링을 목적으로 하는 곳에서는 진정한 신비는 일어나지 않습니다. 참 신비, 진정한 치유는 근원으로 돌아갈 때, 참 제자가 되어 따를 때 일어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작성자
공지 자비하신 마음 2024.06.10 55 임선 수녀
공지 지극히 거룩하신 성체성혈 대축일 _ 그리스도의 몸 2024.06.03 68 토머스 키팅 신부
공지 향심기도는 삼위일체의 신비에 동참하는 기도다. 2024.06.03 45 이준용 신부
공지 가톨릭 마산교구 제2619호주보 _ 2024년 5월 26일 지극히 거룩하신 삼위일체 대축일 _ 향심기도란 어떤 기도인가요? (5) 2024.06.03 52 윤행도 가롤로 신부/ 월영본당 주임
공지 성령 강림의 신비를 체험하는 향심기도 2024.05.20 74 이준용 신부
공지 신성화되는 은총을 체험하는 향심기도! 2024.05.12 68 이준용 신부
공지 성령과 함께하는 기도인 향심기도 2024.05.12 63 이준용 신부
공지 가톨릭 마산교구 주보 제2618호 _ 2024년 4월 28일 부활 제5주일 __ 향심기도란 어떤 기도인가요? (4) 2024.04.28 85 윤행도 가롤로 신부/ 월영본당 주임
978 연중 제22주일 묵상 - 하느님의 일을 하시게.. 2013.03.14 3130 차덕희 알벨도 수녀 bert276@hanmail.net
977 연중 제23주일 묵상 - 하느님의 뜻대로 2013.03.14 3180 김종봉 요한 신부 baramjohn@hanmail.net
976 연중 제24주일 묵상 - '이해' 더하기 '희생'은 2013.03.14 2841 김종봉 요한 신부 baramjohn@hanmail.net
975 연중 제25주일 묵상 - 하느님의 판단 기준 2013.03.14 3152 김종봉 요한 신부 baramjohn@hanmail.net
974 연중 제 26주일 묵상 - 하늘나라에서 위대한 분 2013.03.14 3206 김종봉 요한 신부 baramjohn@hanmail.net
973 연중 제27주일 묵상 - 상속자가 원하시는 일 2013.03.14 2862 박순원 신부
972 연중 제 28주일 묵상 - 우리가 입을 예복 2013.03.14 3061 박순원 신부
971 연중 제 29주일 묵상 - 소화 데레사 성녀처럼 2013.03.14 3443 박순원 신부
970 연중 제 30주일 묵상 - 기도하는 이들의 씨앗 2013.03.14 2827 박순원 신부
969 연중 제 31주일 묵상 - 예수님을 본받아 2013.03.14 3049 박순원 신부
968 연중 제 32주일 묵상 - 위령성월을 맞이하며 2013.03.14 3325 안충석 루까 신부 anchs@catholic.or.kr
967 연중 제 33주일 묵상 - 기도의 형태와 자세 2013.03.14 3074 안충석 루까 신부 anchs@catholic.or.kr
966 그리스도왕 대축일 묵상-감사기도, 그리스도인의 2013.03.14 3042 안충석 루까 신부 anchs@catholic.or.kr
965 대림 1주일 묵상 - 겸손한 기도생활 2013.03.14 3227 안충석 루까 신부 anchs@catholic.or.kr
964 대림 제2주일 묵상-길 위에서 기도하며 가는 인간 2013.03.14 3462 안충석 루까 신부 anchs@catholic.or.kr
963 대림 제3주일 묵상 - 골방에서 비밀로 하는 기도 2013.03.14 3534 안충석 루까 신부 anchs@catholic.or.kr
962 대림 제4주일 묵상-꽃이 되고 싶어 하시는 하느님 2013.03.14 3028 안충석 루까 신부 anchs@catholic.or.kr
961 성탄 대축일 묵상 - 수동의 기도생활 2013.03.14 3202 안충석 루까 신부 anchs@catholic.or.kr
960 천주의 성모마리아 대축일 묵상-새해 희망의 기도 2013.03.14 3992 안충석 루까 신부 anchs@catholic.or.kr
959 주님공현대축일 묵상 - 넷째 왕의 전설 2013.03.14 4380 안충석 루까 신부 anchs@catholic.or.kr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56 Next ›
/ 56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