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관상지원단

조회 수 3581 추천 수 0 댓글 0
Extra Form
작성자 이호자 마지아 수녀 jaho264@hanmail.ne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누군가를 좋아하게 되면 그때부터 항상 그사람의 생각이 떠나지 않게된다..
좋은 것을 보고, 먹고, 놀고, 뭔가를 하면서도 줄곧 그분의 생각이 먼저 떠오르게 된다.
그 사람이 마치 함께 있는 것처럼 대화도 하게 된다..
내 마음 , 내 정신을 온통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앉으나 서나 오직 당신 생각뿐인 것이다.
그가 애기든, 연인이든, 친구든, 부모든, 자녀든, 스승이든, 은인이든..............
그뿐이랴, 기분이 좋을 때는 낯선 사람에게도 좋은 감정을 나누고 싶다.
웃음을 나누고, 선물과 격려를 나누게 된다. 이것을 두고 크리스챤이 지녀야 할 보편적인 하느님의 사랑이라 일컫는다. 그래서 이웃을 내몸처럼 사랑하게 되는 것이다.
헨리 나웬은 '지금 여기에서' 라는 그의 책에. "사람을 사랑하는 것은 또다른 인간존재와의 충실한 친교를 통해 하느님의 무한하신 사랑을 육화하는 것이다." 라고 썼다..
여기에는 우선 이웃이 좋아하는 것을 우선적으로 하고 싫어하는 것은 삼가해야 한다.
자기 본위, 자기중심적인 행위보다는 적극적인 양보, 즉 자기를 부인하는 요구가 수반된다.
'소와 사자' 라는 이야기를 읽은 적이 있다. 서로 죽도록 사랑해서 결혼을 했는데, 소는 매일같이 풀을 갖다 바치고, 사자는 열심히 동물을 바쳤다. 서로 참고 살다 급기야 둘은 갈라서기로 했다.
헤어지면서 하는 말, "나는 당신을 위해서 최선을 다했다." 라는 것이다.
자기중심으로만 사랑한 결과였다. 상대방이 좋아하는 것을 해주고, 상대방이 행복해 하는 것이 참사랑이라는 것을 몰랐던 것이다.
그렇다면 하느님이 좋아하는 것이란 무엇인가?
"내가 좋아하는 것은 제물이 아니라. 이웃에 대한 자선이다"(마르12,33)라고 하신 말씀이다.
불행을 당한 이웃에게 눈길을 돌리는 일이다.
하느님을 진심으로 사랑한다면 그분이 좋아하는 것을 해야 한다. 그리고 그분의 말씀대로 살아야 한다.
하느님을 열렬히 사랑한 마더 데레사는 이런 유명한 말을 남겼다.
"we can do no great things-only small things with great love"
비록 작은 일이지만 얼마든지 큰 사랑으로 할 수 있다.
떨어진 휴지조각을 주울 때
거친 말대꾸를 꾹 삼킬 때
문을 조용히 닫고 발소리를 죽일 때
남의 충고를 잘 새겨 들을 때
굳은 표정에 밝은 미소를 던질 때
환자에게 도움의 손길을 줄 때
고된 일을 하는 분의 노고를 알아줄 때
이런 것이 바로 성인이 되는 비결이라고 복자 파더 도일은 말했다.
하느님 사랑은 곧 이웃을 얼마만큼 사랑하는 가로 가늠이 된다.
그런데 유감스럽게도 하느님 사랑은 뛰어난 데, 이웃사랑은 실격인 자가 실로 많다.
사랑의 잔치인 미사를 하고 나오는 사람들의 냉정한 모습, 끼리끼리 어울리기만 하는 세속적인 모습, 사소한 일로 원수가 되어버리는 모습, "이만하면 되지 뭐, 더 이상 은 못하겠어" 하는 조건적이고 계산적인 모습, 필요를 채워 주기보다는 핀잔에 빠르고, 칭찬을 하기보다 비판을 가하고, 미소를 주기보다 냉소를 주며, 격려보다는 질책에 앞서는 모습,등........
행하고자 하는 선은 행하지 않고 오히려 피하고자 하는 악은 얼마나 잘 행하는지'
이것은 분명히 아직도 내안에 도사리고 있는 나약과 탐욕과 분노 라는 원죄의 악습 때문이 아닌가.
이것들을 이기는 길은 오로지 한 길, 하느님을 깊이깊이 사랑하는 길 뿐이다.
내 마음과 내 정신과 내 목숨을 다하여 사랑하는 길 뿐이다.
지고하신 하느님의 위대한 명령 앞에 이순간 머리를 조아리며
나는 과연 하느님 앞에서 몇 점짜리 생애를 살고 있는지?
' '나만 나만' 하며 급급하게 살 것이 아니라 하느님이 기뻐하시고
사랑받는 자녀로서의 의무를 다하고 있는지?
나의 정체성을 다시 한번 가다듬고 새겨 보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작성자
공지 지극히 거룩하신 성체성혈 대축일 _ 그리스도의 몸 2024.06.03 0 토머스 키팅 신부
공지 향심기도는 삼위일체의 신비에 동참하는 기도다. 2024.06.03 0 이준용 신부
공지 가톨릭 마산교구 제2619호주보 _ 2024년 5월 26일 지극히 거룩하신 삼위일체 대축일 _ 향심기도란 어떤 기도인가요? (5) 2024.06.03 0 윤행도 가롤로 신부/ 월영본당 주임
공지 성령 강림의 신비를 체험하는 향심기도 2024.05.20 10 이준용 신부
공지 신성화되는 은총을 체험하는 향심기도! 2024.05.12 8 이준용 신부
공지 성령과 함께하는 기도인 향심기도 2024.05.12 6 이준용 신부
공지 가톨릭 마산교구 주보 제2618호 _ 2024년 4월 28일 부활 제5주일 __ 향심기도란 어떤 기도인가요? (4) 2024.04.28 16 윤행도 가롤로 신부/ 월영본당 주임
918 연중 제3주일 2016.01.24 1356 토머스 키팅 신부
917 사순 제6주일 2016.03.20 1209 토머스 키팅 신부
916 주님 승천 대축일(홍보 주일) 2016.05.08 337 토머스 키팅 신부
915 연중 제14주일(한국 성직자들의 수호자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 순교자 대축일 경축 이동) 2016.07.03 291 토머스 키팅 신부
914 연중 제22주일 2016.08.28 271 토머스 키팅 신부
913 연중 제30주일(전교 주일) 2016.10.22 257 토머스 키팅 신부
912 대림 제4주일 2016.12.17 221 토머스 키팅 신부
911 연중 제6주일 2017.02.11 206 토머스 키팅 신부
910 수난 성지 주일 2017.04.09 186 토머스 키팅 신부
909 성령 강림 대축일 2017.06.03 190 토머스 키팅 신부
908 연중 제17주일 2017.07.29 179 토머스 키팅 신부
907 아기 예수의 성녀 데레사 동정학자 (선교의 수호자) 대축일 2017.10.01 203 토머스 키팅 신부
906 그리스도왕 대축일 2017.11.24 165 토머스 키팅 신부
905 연중 제3주일 2018.01.21 167 토머스 키팅 신부
904 사순 제4주일 2018.03.10 144 토머스 키팅 신부
903 부활 제6주일 2018.05.06 112 토머스 키팅 신부
902 연중 제14주일 2018.07.08 122 토머스 키팅 신부
901 연중 제22주일 2018.09.02 118 토머스 키팅 신부
900 연중 제30주일 2018.10.27 101 토머스 키팅 신부
899 대림 제4주일 2018.12.24 59 토머스 키팅 신부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56 Next ›
/ 56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